
백범 김구 선생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하며 독립운동에 앞장섰던 김구는 당시 국민들에게 큰 영향력이 있었고, 오늘날까지도 가장 존경받는 독립 운동가 중 한 명입니다. 독립과 통일을 위해 힘썼던 김구의 어린시절은 어땠을까요?

김구는 1876년 8월 29일 황해도 해주에서 아버지 김순영과 어머니 곽낙원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릴 때 이름은 김창암이었는데, 창암은 멀쩡한 아버지의 수저를 부러뜨려 엿을 바꿔 먹거나 아버지가 방 안에 둔 돈을 보고는 몰래 들고 나가 떡을 사 먹으러 가던 길에 어른들에게 들켜 크게 혼나는 등 엄청난 개구쟁이였다고 합니다.

김구의 가문은 신라 경순왕의 후손으로 대대손손 잘 살았으나, 효종 임금 시절 조상인 김자점이 전쟁 계획을 청나라에 알린 사실을 들켜 반역죄*로 집안이 망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온 집안이 황해도 해주의 산골짜기 아래 숨어 들어와 살게 되었고, 김구도 가난한 어린시절을 보냈습니다. 그가 12살이던 어느 날, 친척 어른이 자식을 결혼시키고 사돈을 만나러 가는 길에 갓을 썼다는 이유로 양반*들에게 마구 맞았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었습니다. 양반도 아닌데 감히 갓을 썼다는 이유였지요. 이 사실에 충격을 받은 김구는 아버지에게 양반이 되는 법을 물었고, 아버지는 공부를 열심히 해 과거 시험*에 합격하면 양반이 될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이에 김구는 양반이 되고자 서당에 다니며 열심히 공부했고, 항상 좋은 성적을 거뒀습니다.

수년간 열심히 공부한 끝에 17살이 되던 해 드디어 김구는 과거 시험을 보러 갔습니다. 그런데 그는 그곳에서 충격적인 모습을 보게 됩니다. 좋은 자리를 잡기 위해 힘센 자를 앞세워 떼 지어 들어가는 모습, 나이 든 선비들이 합격을 애걸*하는 모습을 보고, 공부를 제대로 하지 않고도 돈을 주고 시험지를 사서 양반이 되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나니 과거를 보는 것이 의미 없어졌습니다. 결국 김구는 시험을 보지 않고 집으로 돌아옵니다.

집으로 돌아온 김구는 아버지의 말대로 관상가*가 되고자 3개월 동안 집에서만 지내며 관상 공부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거울을 보며 열심히 관상 공부를 하던 그는 자신의 관상이 좋지 않다는 사실을 알고 절망하고 맙니다. 그러나 관상 책에 적힌 ‘얼굴 좋은 것은 몸 좋은 것만 못하고, 몸 좋은 것은 마음 좋은 것만 못하다’는 글을 보고, 관상보다 더 중요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김구는 겉모습에 신경쓰기 보다는 마음이 좋은 사람으로 살아야겠다고 결심하게 됩니다.

18세의 김구는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고 가르치는 동학*에 입문하게 됩니다. 어린 나이였지만 키도 크고 사람들을 이끄는 능력이 남달랐던 김구는 동학 내 지역 대표인 접주가 됩니다. 나이가 어리다고 하여 아기접주라는 별명도 얻었습니다. 그는 동학농민운동*에 참여하며 해주성 공격에 앞장서지만 전투에서 패배하게 됩니다. 이때 동학군을 잡아들여야 하는 입장이었으나 김구의 남다름을 알아 본 안태훈 진사의 도움으로 위기를 벗어나게 되고, 그의 집에서 지내며 그의 아들인 안중근 의사 와도 함께하게 됩니다. 여기서 스승인 고능선 선생을 만나게 된 김구는 ‘옳다고 판단한 것을 실천에 옮기고 어려운 일이 있더라도 이를 계속 실천해 나가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김구는 스승 님의 가르침 덕분에 우리나라를 위한 길이 무엇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할 수 있었고, 이를 실천하는 삶을 살기 위해 평생을 노력했습니다.
*반역죄 : 국가를 배신한 죄
*양반 : 조선 시대의 지배층을 이루던 신분
*과거 시험 : 관리를 뽑을 때 실시하던 시험
*애걸 : 소원을 들어 달라고 애처롭게 빎
*관상가 : 사람의 얼굴을 보고 그의 운명, 성격, 수명 따위를 판단하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동학 : 1860년 최제우가 만든 종교로 모든 사람이 평등해야 한다는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동학농민운동 : 농민들에 대한 수탈에 저항하고, 평등을 주장하며 동학 농민들이 일으킨 운동
참고자료 : 백범김구기념관 유튜브 온라인 전시해설,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독립기념관),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회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