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엄마!
서울은 서울역부터 구경할 게 너무 많아요~

맞아~ 옛 서울역인 문화역서울284는
100년 전의 모습을 재현해 놓아서
특별한 관람을 할 수 있어!

서울역은 1900년 ‘남대문 정거장’이라는 이름으로 영업을 개시했어요. 당시 목조 건물로 지어진 10평의 작은 정거장이었으나, 1905년 경부선이 생기면서 그 중요성이 커졌어요. 현재의 서울역 건물은 2004년 KTX가 개통되면서 새롭게 지어졌습니다. 이전 건물은 2011년 복원해 복합문화공간으로 개관했는데 옛 서울역의 사적 번호인 ‘284’를 붙여 ‘문화역서울284’라고 불러요. 중앙 홀, 매표소 및 물품보관소, 대합실 등이 100년 전 역사를 느낄 수 있도록 과거의 모습으로 재현돼 있어 특별한 관람을 할 수 있어요. 또한 서울역 앞 광장에서는 1919년 새로 부임하는 조선총독에게 폭탄을 던진 강우규 의사의 동상을 볼 수 있습니다.
o 관람시간 | 10:00~19:00(입장 마감: 18:30,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문화가 있는 날로 21시까지 연장 운영)
o 입장료 | 무료
o 휴관일 | 월요일
o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1
o 전화번호 | 02-3407-3500



전쟁기념관이에요!
이곳이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전쟁사 박물관이에요?

그래~ 특히 전쟁기념관 동쪽에 위치한 어린이박물관에서는
전시 관람뿐 아니라 성벽 쌓기, 퀴즈 풀기, 암벽등반 등의
체험활동도 할 수 있어서 기억에 오래 남을 거야.

전쟁기념관은 전쟁을 단일 주제로, 5천 년 민족사를 조망한 대한민국의 유일한 전쟁사 종합 박물관입니다. 외침에 맞서거나 민족의 자주적 독립을 지켜오기 위해 싸웠던 전쟁의 참상을 보여주고 있어 민족과 국가를 위해 국민 모두가 하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배우고 느낄 수 있어요. 특히 기념관 동쪽에 어린이박물관이 위치해 있는데, 여기에는 전쟁 역사를 기반으로 한 전시실을 비롯해 영상실, 체험시설도 구성되어 있어 어린이들의 학습 및 체험활동을 돕고 있습니다.
o 관람시간 | 09:30~18:00(입장 마감: 17:30)
o 입장료 | 무료
o 휴관일 | 월요일
o 위치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29
o 전화번호 | 02-709-3114/3200



우리나라를 위해 목숨 바쳐
싸우셨던 분들이 이렇게 많아요?

그러니 우리는 이분들을 생각하면서
항상 감사한 마음을 갖고 추모해야 돼!

1954년 6·25전쟁 직후에 북한의 공격과 전쟁으로 전사한 분들을 안장하기 위한 국군 묘지로 출발했어요. 이후 1965년 3월 30일 국립묘지령으로 재정립되면서 애국지사부터 경찰관 및 향토예비군까지 묘지 안장 대상의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 현재는 우리나라 대통령들을 모신 ‘국가원수묘역’을 비롯해 ‘임시정부요인’, ‘독립유공자’, ‘국가유공자’ 등의 묘역으로 나눠져 있습니다. 내부에는 ‘호국전시관’, ‘유품전시관’을 관람할 수 있으며, 사전예약을 한다면 해설을 들으며 현충원을 탐방할 수 있어요. 또한 산림지역의 일반인 접근을 통제하고 훼손을 금지한 덕분에 도심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자연 상태가 잘 보존되어 쾌적하고 안락한 분위기를 제공합니다.
o 개방 시간 | 연중무휴 06:00~18:00
o 일부 업무시설 개방 시간(관리사무소, 민원실, 호국전시관, 유품전시관 등) | 9:00~18:00(11월 공휴일, 12~2월 토요일 및 공휴일은 전시관 휴관)
o 입장료 | 무료
o 위치 |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
o 전화번호 | 02-813-9625




여기가 드라마 속에서 많이 봤던 북촌한옥마을인가 봐요.
이곳에서 자고 갈 수도 있어요?

맞아. 그래서 오늘은 전통 한옥에서 하룻밤을 보내며 여행을 마무리 하자!
그리고 내일은 한복 체험도 하면서
주변 골목이나 거리 곳곳을 둘러보며 사진을 찍자.

북촌한옥마을의 ‘북촌’은 청계천과 종로의 윗동네라는 뜻이고, 이곳에 한옥이 밀집되어 ‘북촌한옥마을’이 되었습니다. 이곳의 한옥들은 1920년대까지 조선의 양반층 주거지였으나 1930년대에 근대적 도시 구조에 맞춰 변형된 것으로 추정되며, 가회동, 송현동, 안국동, 삼청동 등에 위치해 있습니다. 서울 도심 속 자리잡은 전통 주거지역이라는 특별한 점 덕분에 오랫동안 TV 촬영지로 활용되었습니다. 대표적으로 ‘호텔 델루나’의 촬영지였던 ‘삼청동 게스트하우스’가 있는데, 이외에도 다양한 장소를 구경하며 TV 속 주인공이 된 듯한 재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사적들과 문화재, 민속 자료가 남아 있어 ‘도심 속 거리 박물관’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o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길 37
o 전화번호 | 02-2133-1372

지금까지 서울 여행을 해보니 어떠니?

이번 여행으로 우리나라 근현대 역사에 대해 많은 것을 알게 된 것 같아요.
저와 서울 여행을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엄마!